램 시장에서 더이상 삼성을 따라갈 제조사가 없을 것 같습니다. 2011년 1월에 이미 DDR4 UDIMM 준비가 끝났던 삼성전자가 PC 업계 영향력이 큰 인텔에 빨리 DDR4 시스템을 구축해달라는 요구를 했다합니다.
삼성전자 메모리는 현재 DDR3 메모리의 주요 공급처인 동시에 서버시장을 잡고 있다고 하는데, 인텔은 로드맵 상 2013년에 DDR4 메모리를 플랫폼에 등장시킬 것이라고 하여, 삼성의 이런 요구가 나온 것 같네요.
어쨌든 소비자 입장에서 DDR4 메모리의 출현이 빠르다면 좋은 소식이겠죠. 현재 DDR4 메모리를 개발한 제조사는 한국 기업인 삼성전자와 하이닉스 뿐이라고 하네요.
힘의 균형상 대만 메모리 제조 업체가 비슷하게 따라온다면 가격면에서 좋을 것 같기는 한데 어쨌든 국내 기업의 힘이 막강하다는 것은 바람직한 것 같습니다.
삼성이 가격만 소비자 중심으로 책정하면 괜찮을 것 같네요. 어쩌면 생각보다 DDR4 메모리를 빨리 볼 수도 있겠습니다. 인텔 하스웰과 DDR4가 처음으로 등장하려나요?
source: techpowerup.com
'컴퓨터 > 하드웨어뉴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인텔 아이비브릿지 출시 직전 가격 인하. (Intel Ivy Bridge CPU price cuts) (30) | 2012.04.14 |
---|---|
[DDR4 메모리] 삼성 인텔에 DDR4 시스템 빨리 출시해달라 요구. (11) | 2012.04.13 |
AMD 라데온 HD 7900, HD 7700 가격 인하. (Radeon HD 7970, 7950, 7770, price cuts) (31) | 2012.04.13 |
인텔 아이비브릿지 4월 23일 출시. (Intel ivy bridge launch on 23 April) (13) | 2012.04.12 |
!!!!!!!
말로만 듣던 공밀레가 실제로 일어났네요!
삼성.... 아이폰5 나온다고 공밀레를 시전하면서까지 갤놋 만들었더니 나온게 아이폰4S....
아무튼 삼성도 외계인 잘 줍나봅니다 ㅎㅎ
삼성은 반도체 부분에서 세계 최강이죠. 솔직히 삼성 비하를 아무리 해도 이건 인정 안할 수가 없습니다.
DDR3의 초창기 가격을 생각해보면 알 수 있듯이
나온지 1년은 지나야 빠르게 보급될거 같은데요
그때까지는 관심을 끄는게 편할거 같네요.
넴. 어느 정도 DDR3와 공존하다가 서서히 유저가 넘어가겠죠.
워; 좋은.. 소식이겠죠?
DDR4 제조사가 우리나라 기업 밖에 없으면 그 가격은.. 8:50
대만 및 일본 기업과 기술차이를 세계에 공표하는 것 같네요.
ddr3램 단종도 먼 이야기는 아니겠네요. 하루건너 나오는 기술의 발전에 놀랄뿐입니다.ㅎㅎ
DDR4 활성화되면 DDR3 램테크하신 분들 빛좀 보려나요? ㅎ
솔직히 거니 회장은 요다 닮지 않았던가요?
두.. 두렵습니다. ㅡㅡ;
! 그런 비밀이..
외.. 외계인..!!!: