GPU-Z 스펙 |
처음 오버클럭한 스펙은 850MHz입니다. 그래픽카드 오버는 처음 해봤는데 Shader를 같이 올려야 하더군요.
850MHz로 오버하니 올린 것 같지도 않더군요. 그래서 과감히 호구프로저 클럭까지 오버!
오버 땡기고 나니 왜 진작에 880MHz까지 안 올렸을까 하는 후회뿐. ㅜㅜ
테스트 PC 스펙 |
CPU: intel Core i5-2500 샌디브릿지
M/B: ASRock H67M (B3) 애즈락
VGA: JETWAY GTX560 Ti
RAM: Samsung PC3-10600 DDR3 (4Gx2)
HDD: HITACHI, SAMSUNG (500GB, 250GB SATA3 7200RPM)
SSD: Crucial M4 64GB (메인)
CASE: BITFENIX Shinobi Window (팬 정면, 후면, 하단 3개 사용.)
PSU: FSP FSP500-60APN (500W)
OS: Windows 7 Ultimate K 64-bit Forceware: 285.62 |
노오버 노말 샌디브릿지 i5-2500에 노오버 램 8G 테스트입니다.
SSD 때문에 프레임이 올라가는 일은 없고 로딩만 빨리 하려고 이용했습니다.
Windows7 Ultimate K 64-bit 체험지수 |
822MHz 기본 클럭.
880MHz 오버클럭.
오버클럭 하니 그래픽 점수 7.9 만점 획득입니다.
이런일이..!! 숫자놀이 성공.
이제 남은건 CPU와 메모리뿐!
3DMark11 Performance setting |
순서대로 822, 850, 880MHz 클럭 스피드입니다.
850MHz는 별로 성능 향상이 없는 것 같아서 880MHz까지 올렸습니다.
이 정도 오버클럭은 거뜬한 것 같네요.
코어 클럭 900MHz 메모리 4008MHz 1.0V 기본 전압.
900MHz, 메모리 4200Mhz 기본전압. (안전빵)
코어클럭 920MHz 전압 1.0V (3DMark11만 통과 Vantage 실패)
그래픽 클럭 930MHz, 전압 1.0V (마찬가지)
오버클럭 해도 피직스 스코어는 별 영향 없고, 그래픽 점수가 많이 올라가네요.
번외. 950MHz로 올리니까 점수가 조금 더 올랐습니다.
(링크: DB)
3DMark Vantage Performance setting |
순서대로 822, 880MHz 입니다.
900MHz, 4008MHz, 기본전압 1.0V
CPU 점수는 오락가락 하네요. GPU 점수가 1000점 정도 올라갔습니다.
3DMark06 Performance setting |
순서대로 822, 850, 880MHz 클럭 스피드.
3DMark06은 별로 변화가 없습니다. 조금 밖에 안 올라가네요.
Physics Test (Dark Void) |
NVIDIA 피직스 성능을 테스트할 수 있는 벤치마크 툴입니다.
1920x1080 해상도.
성능 차이가 생기네요. 이 수치는 프레임입니다.
Lost Planet 2 |
AA 2X, 모션 블러, 그림자, 텍스쳐, 연출, DX11 HIGH 입니다.
다른 테스트는 의미 없고 DX11 테스트 시 성능 비교.
순서대로 822, 880MHz.
평균 프레임이 상승하네요.
Mafia2 |
마피아2는 피직스 테스트 안 하면 의미가 없죠. 피직스 최상으로 놓고 1920x1080 옵션 안티앨리어싱 빼고 최상.
랭크는 D가 나오기는 하는데 프레임 상승이 있기는 있네요. 어차피 피직스 게임은 피직스용 카드 한 개 더 끼워서 하는 분이 많으시고 단일로는 GTX580 정도는 되야 무난하다고 하는데 피직스 최상만 아니면 할만하더군요.
마피아2는 피직스 끄면 게임 그래픽이 구린 것 같지만 피직스 옵션 활성화하면 벽들이 살아 움직입니다. 파편도 그냥 떨어지지 않고 바닥에서 바운딩! 피직스 없으면 바닥에 붙자마자 사라지는 파편들!
METRO 2033 |
메트로2033 빌트인 벤치마크 툴로 피직스를 키고 테스트한 수치입니다.
1920x1080해상도에 옵션은 Very High 안티앨리어싱 관련 옵션은 최하.
메트로 2033도 피직스를 켜야 파편튀는 장면을 볼 수 있습니다. NVIDIA 카드로 재밌는 부분은 이 부분인듯 하네요.
Resident Evil 5 DX10 |
이제 슬슬 이 벤치마크 툴은 안 써도 될 것 같은 게임 레지던트 이블5.
Unigine Heaven |
Heaven 테스트는 DX11 테셀레이션 최대 옵션입니다.
Render: direct3d11
Mode: 1920x1080 2xAA fullscreen
Shaders: high
Textures: high
Filter: trilinear
Anisotropy: 4x
Occlusion: enabled
Refraction: enabled
Volumetric: enabled
Tessellation: extreme
요점은 오버클럭으로 프레임 상승.
온도, RPM (Tempererture) |
온도 테스트는 케이스 옆 뚜껑 따고 했습니다.
Furmark로 평소에는 나오지 않는 온도를 측정해봤습니다. Max 89도 기록합니다.
아래는 GPU-Z로 동시에 확인한 피크값입니다.
(LOAD 상태 및 온도, RPM까지 모두 확인 가능한 상태입니다.)
89도는 처음인 것 같네요. 보통 아무리 고 사양 게임을 해도 82도 찍는게 최대였는데 역시 Furmark burning 테스트입니다.
파워가 좀 불안했는데, 뭐 살아 있네요. Furmark 돌리니 갑자기 컴퓨터에서 귀뚜라미가 울던데 안습. ㅜㅜ
코어클럭 900MHz, 메모리클럭 4200MHz 때문에 Furmark 한 번 더 돌린 것.
Burn-in 으로 5분 돌렸습니다. 파워가 불안불안해서 스톱.
온도 최대 89도 기록.
최대 소모전력 302W
최대 팬 회전속도 2940RPM (61%)
소모전력 (Power Consumption) IDLE, PEAK |
고사양 게임을 해도 평소 220W를 넘지 않는데 Furmark를 돌리니 꽤 많이 먹네요. 시스템 전체 소모전력입니다. (모니터 제외)
그러나 이 숫자도 상당히 양호한 숫자라고 생각이 드는군요. 아니지, 엄청 양호한 숫자죠.
인텔 CPU가 좋긴 좋네요. 이 좋은게 아이비브릿지 가면 더 저전력이 되고 해즈웰로 가면 초 저전력! ㅎㅎ
이상 JETWAY GTX560Ti 오버클럭 벤치마크입니다.
900MHz 이상 오버클럭은 싱글팬으로 좀 오바인 것 같고, 880 정도는 무리도 안 가네요.
왜 여지껏 그냥 썼을까 하는 후회뿐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