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SD 최적화 및 용량확보 툴입니다. 사실 SSD 최적화라는 것은 불필요한 작업 같습니다.
왜냐하면.. 솔직히 SSD를 쓰는 이유 자체가 쾌적한 환경을 위함인 것 같은데, 저장파일을 HDD로 옮기고 하는 것이 과연 필요한 작업인가 싶네요.
현재 추세로 보면 SSD 가격 떨어지는 추세도 굉장히 빠릅니다. SSD 등장 당시 20GB도 몇 십만 원 할 때나 벌벌 떨면서 오래 사용할 생각을 했겠지만, 지금은 그냥 소모품 정도로 생각해도 될 것 같습니다.
내년, 내후년 되면 지금 투자하는 1GB 대비 가격이 절반도 안될지도 모르죠. 5년 10년 사용할 것도 아니고 대부분 2년에서 길게는 3~4년 정도 바라보고 사용할 것인데, 대충 써도 될 것 같습니다.
■ SSD 최적화
제가 생각하는 최적화 팁은 그냥 "AHCI" 설정 하나만 켜는 것입니다. 그거 말고 할 것이 있을까요?
쓰고 지우는 것이 싫고 그냥 파일 불러오는 것만 생각하시는 분은 다른 블로그에서 HDD에 작업 공간 할당하는 방법을 얻으시면 됩니다.
하지만, 저는 그냥 TRIM을 위해 AHCI 옵션 하나만 킵니다.
잘 생각해보면 SSD가 정말 필요한건 최적화가 아니라 "용량확보" 같습니다. 저처럼 60GB급 SSD를 사용하는 분이라면 더더욱 그렇죠.
운영체제에서 차지하는 공간을 줄이면 줄일수록 사용할 공간이 많아지는데, 실제 최적화팁 보다 차라리 이거 적용하는 게 더 도움되실 것 같네요.
하지말아야 할 "디스크 조각모음" 만 하지 말고 그냥 편하게 쓰세요.
■ SSD 용량확보 (1)
요즘 메모리 다 4GB 이상은 사용하시죠? 그리고 SSD를 사용하실 정도로 컴퓨터에 관심이 많은 분이라면 분명 램 용량도 신경쓰고 계신 분이라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.
<제어판>-<시스템 및 보안>-<시스템>-<고급 시스템 설정>
위 단계로 하시거나 간단히 시작프로그램 <컴퓨터>에서 마우스 우클릭 하시면 바로 시스템 화면을 보실 수 있습니다. <설정> 버튼을 눌러주세요.
그 다음 <고급> 탭에서 "가상 메모리" 부분의 <변경> 버튼을 누릅니다.
아래 체크된 것을 해제합니다.
<페이징 파일 없음(N)>을 선택하고 <설정>을 누르세요. 메모리가 충분한데 이걸 할 필요가 없겠죠.
■ SSD 용량확보 (2)
두 번째는 절전모드 끄기 기능입니다. 이것도 설정하시면 용량이 조금 더 생깁니다. 그런데 이건 해도 좋고 안 해도 좋을 것 같네요.
<보조프로그램>-<명령프롬프트: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(A)>
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은 <마우스 오른쪽 클릭>을 하시면 나옵니다.
위 명령어를 입력해주시고 <ENTER>키를 눌러주세요. 그럼 설정 끝.
■ SSD 용량확보 (3)
마찬가지로 관리자 권한으로 <명령프롬프트>를 열어준 다음 아래 DISM 명령어를 입력해줍니다. 이 명령어는 서비스팩이나 업데이트 찌꺼기를 지워줍니다.
위 3가지만 해줘도 용량이 꽤 늘어납니다. (1)번이랑 (3)번 정도만 하셔도 될 것 같습니다.
SSD는 속도 보다 더 필요한 것이 "용량" 입니다. "조각모음"만 안 하고 "AHCI" 설정에서 TRIM만 돌아가는 것 확인되면 그냥 맘편히 쓰다 다음 SSD를 맞이하면 되겠죠. 용량을 바라면 HDD를 쓰면되지 않나 질문이 있을 것 같은데, SSD가 아무리 느려도, HDD가 발 끝이나 따라갈지 모르겠네요.
'컴퓨터 > 컴퓨터 관련 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현 시점에서 현명한 인텔 CPU 구매 팁. (2012년 4월 초 기준) (17) | 2012.04.02 |
---|---|
SSD 최적화 및 용량 확보 팁. (SSD 용량 관리) (23) | 2012.03.31 |
다음팟플레이어 프레임 없애는 방법. (DAUM POTPLAYER) (16) | 2012.03.28 |
게임 프레임(FPS)에 대한 오해. 과연 높은게 장땡? (52) | 2012.03.18 |
ssd 보유하고 계신 분께 정말 좋은 팁이군요. 없는 사람은 그저 부러울 따름이네요.
트랜센드 같은 경우 60기가가 8만 원 정도 하는 것 같더군요. 샌드포스 제품들 컨트롤러 같으면 성능은 비슷비슷할텐데 좀 더 가격 내려가면 하나 장만해보세요. 후회는 안합니다.
SSD 최적화는 일단 AHCI 설정은 기본이겠고..
나머지.. 꺼야 할 것들은...
전원 관리, 인덱싱 서비스(윈도우 서치), 슈퍼 패치(프리 패치), 조각모음, 가상메모리, 백업 설정 정도인데..
수명에 영향을 준다는 걱정보다는.. 성능과 용량에 관련이 있으니 다 끄고 사용하고 있어요
인덱싱 서비스는 파티션 분할에 필요한 기능이니.. 파티션을 나눌때는 켜줘야 해서 조금 번거럽네요;;
음. 백업설정도 끄면 용량버프가 좀 일어나더군요.
그거도 나중에 추가해야겠군요.
SSD사용자인데 땡큐쏘멍치 60기가는 너무적음 ㅇㅇ
120gb 정도가 좋죠. 저는 좀 비쌀 때 사서 안습이네요.
좋은정보네요 처음 ssd달았을때는 여기저기 찾아보고 어떻게 사용해야할지 생각을 많이했는데 이젠 뭐 그냥 막 쓰게되네요 ㅋㅋ
처음에나 벌벌떨지 정작 쓰다보면 신경 안쓰게 됩니다. ㅎㅎ
3번 좋네요.. 일반 하드 쓰는데 용량이 모자랐던터라 도움 받았습니다. ^^
이게 ssd에만 관련된 것이 아니고 저 용량 HDD 이용자 분도 참고하면 좋은 것 같네요.
오~~감사합니다 나중에 ssd사면 그떄 해볼께용 아직은 하드 ㅠㅠ유저라 ㅠㅠㅠㅠㅠㅠㅠ
sneeze 님은 하이엔드 유저신데 정작 ssd에 소홀하셨네요. ㅇ,.ㅇ;;
SSD.. 언젠간 써주마 =.=..
ocz 옥테인 정도 노려보세요. sata2나 3이나 실제 일반인이 쓰기엔 별 차이 없다네요.
옥탄이 가격이싸 좋긴한데 치환데이터 횟수가 경고뜨는 상태랍니다
현재 OCZ측에서도 인지하고 있는 모양이구요
http://www.ask-tech.com/tt/site/ttboard.cgi?act=read&db=oczfaq&page=1&idx=78
펌워어 업글로 처리가 된다는데
안정성 측면에서 좀 그런거 같네요..
펌웨어로 수정된다니 다행이네요. OCZ 제품은 나온지 6개월 정도 뒤에사야 뒷탈이 없겠군요. ㅎㅎ
오크족은 믿을수 없다는 여럿 불량난 사람 많음
채알람이란 분 어질리티3가 사망하셨었죠. 교체해줬다는데 AS는 괜찮은 것 같네요.
사실 가상 메모리만 없애주고 가끔 수동 트림 돌려주면 되는데, 수동트림 하다가 해킨토시를 날려버렷다는 ㅡ,.ㅡ
으음.. 애플은 돈을 투자해야.. !
인텔 520이 가격 서서히 떨어지고 있는데 이달 말에 19쯤 되면 살 의향이 있는데 그저 지켜보는 중이죠.
고사양을 요구하는 ‘크라이시스3’가 i5-3570으로 충분한데, ‘아키에이지’는 문제없죠잉~
http://www.ipnn.co.kr/focus/?fn=1&idx=23366
정말 감사합니다 아무리 생각해도 용량이 너무 안남아서 c드라이브에있는 폴더 하나하나 용량 보고있었는데 훨씬낫네요 이러니까 물론 여전히 좀모자르지만ㅋㅋ